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 amend
- ResultType
- Variabla
- Thymeleaf
- oracle
- assertequals
- 배열
- git
- PathVariable
- MVC
- mybatis
- git reset
- Java
- HTML
- content-box
- localStorage
- JavaScript
- SQL
- JDBC
- WHEREIN
- react
- 부적합한열
- 이딴게개발자
- useContext
- Spring
- CRUD
- springboot
- BCryptPasswordEncoder
- passwordencoder
- git revase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3)
개발새발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하려는 중... 보안을 위해 Spring security에서 제공하는 기능 주 중 하나인 PasswordEncoder를 사용하고자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rypto.password.PasswordEncoder; 분명 import까지 야무지게 해왔는데 *************************** APPLICATION FAILED TO START *************************** Description: Parameter 1 of constructor in com.penpick.users.service.UserService required a bean of type 'org.springframework.security.c..
1. 개발환경 React로 페이지 구현 SpringBoot로 서버 구현 2. 기존 코드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BrowserRouter as Router, Routes, Route, Link } from 'react-router-dom';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User from './UserList'; import SignUp from './SignUp'; import Login from './Login'; function App() { const [userEmail, setUserEmail] = useState(''); const [isAuthenticated, setIsAuth..
나는... 내 잘못인줄로만 알고 멍청한 나를 자책했지만...... 알고보니 그냥 멍청한 thymeleaf 탓이었음... 멍청한놈.........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종합적인 자원 식별자로 리소스를 유일하게 식별하고 위치를 지정하는 일반적인 식별자 두 가지 유형 존재 URL URN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I에 속해있는 Locator로 리소스가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냄 URL은 일반적으로 프로토콜과 호스트명, 리소스 경로 등의 요소로 구성 **프로토콜(protocol) : http, https URN(Uniform Resource Name) 자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이름 자체로 자원을 식별 위치가 아닌 자원 자체가 무엇인지에 중점을 둔 식별자 서적으로 따지면 ISBN 과 도서 구역의 차이인듯

~ 상황 가정 ~ 나는 분명 작업 공간에 test1.txt 파일을 만들었는데, 커밋 메시지를 "test3.txt 파일 생성"이라고 실수로 잘못 작성해버렸다..! 이전 커밋 기록이 존재한다면 git reset --soft가 먹히겠지만, 방금 전의 커밋이 작업 공간 내의 처음이자 마지막 커밋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 : .git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git init 합니다 1. git amend 최종 커밋을 변경해주는 명령어 정확히 말하자면 git commit --amend -m "변경내용" 으로 작성하는 것이 맞다. 2. 다른 방법들 Master branch에 순서대로 v1 / v2 / v3 / v3-1 / v3-2 라는 커밋이 기록되었다고 가정하자. 막상 커밋을 하고 보니, v3-2라는 메시지가 ..
1. HTTP 란? Hypertext Transger Protocol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주로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2. HTTP의 구조 메서드 / 헤더(Header) / 바디(Body) 메서드(GET, POST) GET : 주로 api나 DB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데 사용 POST : DB나 서버에 데이터를 제출하고싶을 때 사용 헤더(Header) 인증 토큰이나 캐시, 사용자 정보와같은 내용을 meta나 데이터 헤더부분을 이용해서 전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중요한 정보를 담을 때 자주 사용된다 바디(Body) 주로 , , 와 같이 태그의 내용이 DB에 실제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 3. RESTful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웹 서비스..
SQLPLUS SYS/ORACLE AS SYSDBA ALTER SESSION SET "_ORACLE_SCRIPT" = TRUE; CREATE USER 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 밑으로는 전부 권한부여 (선택사항) GRANT CREATE SESSION TO 아이디; GRANT CREATE ANY TABLE TO 아이디; GRANT CONNECT, RESOURCE, DBA TO 아이디;

React에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props props는 데이터를 간편하게 넘기고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굉장히 큰 문제가 된다 1. 컴포넌트 트리 구조가 굉장히 복잡하고 깊을 경우 2. 위의 상황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 소규모의 리액트 앱이라든지, 혹은 데이터 전달을 원하는 자식 컴포넌트가 부모 컴포넌트 바로 밑에 존재한다면 별 문제는 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자식의, 자식의, 자식의, 자식의, 자식의, ... , 자식의 컴포넌트에게 데이터를 전달 할 때는 어떻게 할 것인가? 컴포넌트 전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이를테면 현재 로그인 된 사용자 정보, ..